ABOUT ME

-

Today
-
Yesterday
-
Total
-
  • 리눅스마스터2급 정리 001. 파일 시스템 및 관련 명령어
    자격증/리눅스 마스터 2020. 6. 25. 06:54
    반응형

    1. 파일 시스템, 관련 명령어

    •  1) NFS : 네트워크 상호간 파일 시스템을 쉽게 공유
    •  2) EXT2 : 서버의 비정상적, 예기치 않은 사건으로 재부팅시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기 위해 FSCK(복구) 명령어 추가
    •  3) EXT3 : 파일 내용 변경 시 파일 시스템과 바로 동기화 작업이 이루어진다.
       * 저널링 파일 시스템 : 시스템의 변경사항을 시간에 따라 기록하는 로그공간을 별도로 둔다. 시스템 재부팅시 로그 의 내용을 보고 복구가 쉬워진다.
    •  4) EXT4 : EXT3와의 호환이 이루어지고, 큰 용량(16TB)까지 지원, 64bit의 공간 제한을 없앰, 삭제 파일 복구, 점검 속도가 빨라진 파일 시스템
    •  5) ReiserFS : 저널링 파일 시스템
    •  6) JFS : IBM 사에서 개발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
    •  7) XFS : SGI 에서 개발한 저널링 파일 시스템t
    •  8) NTFS : 윈도우에서 사용하는 파일 시스템 // 안정성이 뛰어나고, 대용량  파일 저장
    •  9) ISO 9660 : CD-ROM 의 표준 파일 시스템
    •  10) UDF : Universal Disk Format 의 약자로 최신 파일 시스템, ISO 9660 파일 시스템을 대체하기 위한 것이다. DVD 사용

    * 리눅스는 각각의 하드웨어 장치를 파일로 마운트(mount)한다.

     1) 하드디스크를 각각의 구획으로 나눠주는 파티션(fdisk) 작업 : 파티션을 생성, 수정, 삭제

     : fdisk [옵션] [장치명] // -l : 현재 시스템의 파티션 목록 출력 // -v : 버전 정보 // -s : 입력된 장치와 크기 출력

    옵션

    -l : 현재 디스크의 파티션 테이블 정보를 출력

    -s partition : 특정 파티션의 크기를 출력

    -v : 버전

    -t : 유형(type)

    q : 변경된 파티션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종료.

    p : 현재 디스크의 정보 출력

    d : 삭제

    n : 생성

    t : 파티션의 속성을 변경

     

     2) 나누어진 파티션을 포맷(mkfs) : 파티션 정보 변경 후 파일 시스템 구축

     : mkfs [옵션] [fs종류] [fs옵션] 장치이름 // -v : 자세한 정보 출력

     : mke2fs [옵션] 장치명 : ext2, 3, 4 파일 시스템 작성하는 명령 // -j : ext3 파일 시스템 작성

     

     3) 각각의 포맷된 장치를 마운팅(mount) : 파일시스템을 기술하고 장치명과 연결할 디렉토리명을 기술

     : mount [옵션] 장치명 디렉토리명 // -t :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 // -a : /etc/fstab 파일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

     * 마운트 해제하여 사용하지 않는 자원을 반납 : umount [옵션] 장치명 or 디렉토리명

     * 옵션

    -a : /etc/fstab에 명시된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할 때 쓰이는 옵션

    -t fs_type : 파일 시스템의 유형을 지정하는 옵션, 지정하지 않으면 /etc/fstab 파일을 참조

    -o 항목 : 마운트할 때 추가적인 설정을 적용할 때 사용하는 옵션

      (1) ro : 읽기 전용으로 마운트

      (2) rw : 읽기 쓰기 모드로 마운트(기본값)

      (3) remount : 해당 파티션을 다시 마운트, 

      (4) loop : loop 디바이스로 마운트 할 떄 사용

      (5) noatime : 파일의 내용을 읽게 되면 access time 이 변경되는 이 옵션을 사용하면 파일이 변경되기 전까지 Access time 이 변경되지 않는다. -> 시스템의 작업을 줄여 성능을 향상할 수 있다.

     

     * cat /etc/fstab : 파일 시스템에 대한 정보

    1. 장치명 파일명

    2. 파일 시스템에 연결할 마운트디렉토리

    3. 파일 시스템의 종류

    4. 파일 시스템의 옵션 지정

    5. 파일 시스템의 백업 사용 여부

    6. 검사

     * 디스크의 파티션을 생성, 삭제확인 : fdisk

     * 파일 시스템의 무결성 오류를 수정 : fsck

     * fsck : 리눅스 파일 시스템을 검사하고 수리 (e2fsck = fsck의 확장 명령어)

      - A 옵션을 사용하면 /etc/fstab의 모든 파일 시스템에 대해 수행

      - -a 옵션을 사용하면 오류 발견 시 자동으로 복구를 시도

      - -r 옵션을 사용하면 복구 시도 전에 확인 요청

    /lost+found : 디렉터리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정상적인 복구가 되며 사라진다.

     * 파티션의 파일 시스템 생성 : mkfs

     * blkid : 파일 시스템 타입이 어떻게 구성되어있는지 볼 수 있다.

     

     *quotacheck : 쿼터 데이터베이스 파일 생성
      quotaon : 쿼터 사용 활성화
      repquota : 쿼터 정보 요약 출력
      edquota : 쿼터 설정
      quota : 쿼터 정보 확인
      usrquota : 사용자 쿼터 설정

     

    2. 권한

     1) 소유권(ownership)

     - 개체에 대한 소유자와 소유 그룹

     - linux 시스템의 모든 개체는 소유자와 소속그룹이 지정되어 있다.

     - 파일 생성 시 파일을 생성한 계정이 파일 소유자가 된다

     - 파일 생성 시 파일을 생성한 계정의 기본 그룹이 파일의 소유 그룹이 된다

     - 명령어를 이용해 소유자와 소유 그룹 변경이 가능하다.

     

     2) chown : 파일의 소유권, 소속그룹 변경 // 계정명, 그룹명 대신 UID, GID 로 사용 가능

     3) chmod : 파일 허가권 변경

      - 멀티 유저 환경에서 개채에 접근할 수 있는 자격, 개체를 read, write, execute 행위를 user, group, other 단위로 권한 부여

      - 허가권 관리 명령어는 chmod와 umask가 있다.

     * umask : 파일이나 디렉터리 생성 시 기본 허가권을 설정하는 값 // 리눅스 시스템에서 자원을 생성할 때 설정되는 기본 권한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사용 (umask 값을 문자로 표기할 때 옵션 -S를 사용한다.)

      - 디렉토리 최대 허가권 : 777 - umask(022) = 기본 허가권 (755)

      - 파일 최대 허가권 : 666 - umask(022) = 기본 허가권(644)

      - Sticky-Bit : other 계층에 설정하도록 되어있으며, 설정하면 other 계층 권한 부분의 x자리에 t로 표기된다.

          : chmod o+t

          : 일반적으로 공용 디렉토리를 사용할 때 설정한다.

        * 시스템의 기본 폴더인 /tmp 디렉토리에 설정되어 있다.

     

      - set-UID : 파일이 실행되는 동안에는 실행시킨 사용자 권한이 아닌 해당 파일의 소유자 권한으로 실행

          : chmod u+s

      - set-GID :

          : chmod g+s

      * 숫자모드인 경우에는 천의 자리가 사용되고 Set-UID 는 4, Set-GID 는 2, Sticky-bit 는 1 의 값을 갖는다.


    *ls -l 입력 시 첫번째 문자열 확인

      - - : 일반 파일

      - d : 디렉토리 파일

      - b : 블록 디바이스 파일 ( ex : /dev/sha, /dev/hda, /dev/fd0 )

      - c : 문자 디바이스 파일 ( ex : 입출력 장치 )

      - l : 심볼릭 링크 

     

    반응형
Designed by Tistory.